<p></p><br /><br />코로나19로 인한 실업 충격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약한 부분인 비정규 임시직의 삶부터 흔들어놨습니다. <br> <br>최소한의 안전망도 없는 이들은 당장 끼니를 걱정할 판입니다. <br> <br>'코로나 실업의 그늘' 연속 기획 첫 순서, 김철웅, 김재혁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차 뒷좌석엔 아직도 축구공이 실려 있습니다. <br> <br>지금은 영업직이지만, 바로 직전까지 방과후 강사였습니다. <br> <br>아내도 강사 일을 했지만, 코로나 때문에 4월까지 둘이 번 돈이 0원입니다. <br> <br>[이모 씨 / 전직 방과후 강사] <br>"코로나 때문에 수업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. 소득이 아예 없었죠.아예 0원이었어요. 기본적으로 나가는 고정비용이 있잖아요. 정말 힘들었죠." <br> <br>먹고 살려면 다른 길을 택해야 했습니다. <br> <br>[이모 씨 / 전직 방과후 강사] <br>"시간이 지날수록 가진 돈은 없죠. 아프다거나 사고가 있으면 신용불량자가 되는 수밖에 없죠. 제주도 돌아다니면서 영업직을 시작하게 됐죠. (아내는) 공부방 하고 있고요." <br> <br>방과 후 수업에서 미술 공예를 가르치던 김모 씨. <br> <br>가족 4명 생계를 책임지던 수입이 하루아침에 뚝 끊겼습니다. <br> <br>[김모 씨 / 방과 후 강사] <br>"정말 쌀이 얼마나 남았나 걱정하게 되고, 아파서 병원 가야 되는데 병원비가 되려나 이런 걱정도 됐어요." <br> <br>물류센터 아르바이트이나 방역 같은 단기 일자리로 버티고 있습니다. <br><br>실제로 교육서비스업은 코로나 충격이 가장 심각한 업종입니다. <br> <br>임시직만 놓고 보면, 전 업종 통틀어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습니다. <br> <br>3월부터 석달 간 교육업 임시직 10만 명이 일자리를 잃었습니다.<br> <br>[김철웅 기자] <br>"일부 제한된 수업만 이뤄지고 있는 학교가 언제 정상화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. <br> <br>방과 후 강사들은 예전처럼 아이들과 수업할 수 있기를 기다립니다. <br> <br>하지만 돌아갈 날을 기대하기 더 어려운 사람들도 있습니다." <br> <br>[김재혁 기자] <br>"교문 밖 상황은 더 힘듭니다. 예체능을 비롯한 프리랜서 교육업 종사자들은 그야말로 맨몸으로 지금 위기상황을 견디고 있습니다. <br> <br>당장 소득이 모두 사라졌는데 언제쯤 회복될지 기약이 없습니다." <br> <br>서정우 씨는 20년 넘게 리코더와 피아노 방문 수업을 해왔습니다. <br> <br>코로나19로 수입은 거의 없습니다. <br> <br>[서정우 / 프리랜서 강사] <br>"주변 사람들한테 '나 이번 달에 15만 원 벌었다'고 했어요. 왜냐면 아이들이 빠지기도 하고 저희는 횟수제로 (돈을) 받는 거기 때문에." <br> <br>직장인들이 받는 실업급여도 없습니다. <br> <br>방과후 강사나 택배기사 등 특수고용직이나 프리랜서 노동자들은 고용보험에서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올해 고용보험 가입률은 전체 취업자의 절반 수준입니다. <br><br>[서정우 / 프리랜서 강사] <br>"피 주머니 차고 수업 간 적이 있고. 아프면 일당이 없어지는 거잖아요. 보험이나 고용보험이나 제도적인 뒷받침 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." <br> <br>이런 사각지대까지 고용보험을 확대하자는 취지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만, 넘어야 할 산은 많습니다. <br> <br>우선 보험료에 부담을 느껴 가입을 하지 않는 자영업자나 프리랜서에게 정부 지원을 해야 하는지 의견이 엇갈립니다. <br> <br>고용보험에 포함한다 해도 완전 실업 상태가 돼야만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현행 제도를 손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> <br>[정세은 /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기존 고용보험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고 그냥 들어오라고 하면 여전히 못 들어올 사람이 많아요. 0에 가까울 정도로 소득이 사라졌을 때 국가가 실업급여를 주는 것으로 하자." <br> <br>프리랜서지만 실상은 여러 사업체에 종속돼 일하는 현실이 반영돼야 할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 woong@donga.com <br>김재혁 기자 winkj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정기섭 윤재영 추진엽 김한익 <br>영상편집 : 이태희 김문영